수집 정보 요약
수집 사이트 수 : 2 수집된 정보 : 1056914총 태그 수 : 13160 매칭된 태그 수 : 16434628
최근 업데이트 된 사이트 수 : 2 최근 한주 정보 : 897
세부 정보 보기
한국생명공학연구원, 발간 20년 맞은 ʻ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ʼ 발간 |
한국생명공학연구원(KRIBB, 원장 김장성)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바이오안전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종합한 '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'를 발간했다고... |
생명공학연구원, 정보 지침서 '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' 발간 |
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바이오안전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집대성한 '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'를 발간했다. 바이오안전성 백서는 우리나... |
생명硏 '유전자변형생물체 정보' 집대성해 백서 발간 |
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바이오안전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집대성한 '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'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. 이번 14... |
‘GMO’정보 A부터 Z까지…생명硏 ‘바이오안전성백서’ 발간 |
‘제2부 바이오안전성 국제 동향’에서는 5개 대륙, 16개국의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법·제도, 승인, 재배, 수출입, 이용, 연구개발 현황과 함께 바이오안전성 관련 국제 정책·제도... |
생명연, 유전자변형생물체 정보 한 권에 '집대성' |
바이오 안전성 백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바이오안전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집대성한 '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'를 발간했다고 14... |
최신 GMO 정보 집대성 ʻ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ʼ 발간 |
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(센터장 김기철)가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바이오안전성 관련 정보와 동향을 집대성한 ‘2023 바이오안전성 백서’를 발간했다. 바이오안전... |
주키니 호박이 불러낸 LMO…대체 뭐길래 난리일까요 [식약설명서] |
GMO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됐는데, LMO(Living Modified Organisms)가 급부상한 것은 2000년 1월 29일 생물다양성협약(CBD) 본부가 있는 캐나다 몬트리... |
"유명무실한 GMO 표시제 개선하고, 반복되는 GMO 사고 막아야" |
전 세계 173개국과 EU는 국제협약인 카르타헤나 의정서를 통해 GMO의 무분별한 국가 간 이동·국내 확산을 통제해 GMO가 인체·생물다양성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... |
주키니 호박 유전자변형생물체 검출 논란, 손실보상 어디까지? |
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해서는 2001년 제정된 이후 2008년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생물다양성협약 카르타헤나 의정서가 발효되면서 동시에 시행된 「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... |
바이오경제 시대, 합성생물학에 묻고 답을 얻다 |
2000년 카르타헤나의정서 채택 당시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유전자 한두 개를 삽입하거나 기능을 없애는 것이었다면, 지금의 합성생물학은 개체 전체를 디자인할 수 있는 것으로... |
주키니호박 논란으로 본 GMO… 여전히 우리 식탁에 [Q&A] |
2000년 1월 29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특별당사국총회에서 생물다양성보존협약의 부속의정서로 채택된 ‘카르타헤나의정서’다. 2023년 4월 현재 기... |
[사설] 버젓이 수입·재배된 LMO 종자…검역당국 뭐했나 |
LMO법은 LMO의 국가간 이동을 규제하는 국제협약인 ‘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 의정서’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LMO에 대한 우려는 세계 각국이 공히 인정하는 바... |
[자치시대] 미승인 유전자변형 호박의 유통과 구제 |
우리 LMO법의 근거가 되는 「카르타헤나의정서」에는 LMO와 관련된 피해구제수단을 법에 둘 것을 권고하고 있다. LMO로 인한 피해는 직접적인 신체상 손해 보다는 이번... |
연구실 뛰쳐나와 미술관으로 간 ‘형광’ 송사리 |
2008년 국제협약인 카르타헤나 의정서 이행을 위한 ‘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의 이동 등에 관한 법률’ 제정에 따라 유전자 변형 어류의 유통과 수입을 엄격히 제한하고... |
‘나고야의정서’ 분담금 미납, 7년치 몰아서 내는 정부…“국제 망신” 비판 |
정부가 6년간 미납했던 유엔 생물다양성협약(CBD) 부속의정서인 나고야의정서 분담금 7년치 약 5억원을 올해 한꺼번에 낸다. 지난 12월 기준 나고야의정서... |
COP15와 생물다양성에 관한 15가지 궁금증 |
세 가지 국제협약은 CBD, 생물안전에 관한 카르타헤나 의정서(Cartagena Protocol),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공정하고 공평한 이익 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<... |
[IT과학칼럼] 합성생물학 육성법 필요 |
더불어 유전자 변형 생물체와 합성생물학 산물과의 관계 설정도 본격 논의돼야 한다. 2000년 카르타헤나의정서 채택 당시 유전자 변형 생물체는 유전자 한두 ... |
현장에서/ 피할 수 없는 농식품 바이오산업 |
현재 NGO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안정성문제와 사회, 경제적문제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. 전 세계 국가들은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... |
[청원 언박싱] 구멍 뚫린 GMO수입검역체계 OUT, 유전자변형생물체의국가간이동... |
유럽연합을 포함한 180여 개 국가가 카르타헤나 의정서에 가입한 것은 GMO로 인한 인체·환경 피해를 사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함께 했기 때문입니다. 우리... |
구멍뚫린 GMO 수입검역체계 OUT! |
김정호 의원(더불어민주당)은 "유럽연합을 포함한 200여 개 국가가 카르타헤나 의정서에 가입한 것은 GMO로 인한 인체·환경 피해를 사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... |
김정호 의원-시민단체 ”구멍뚫린 GMO 수입검역 체계 OUT“ 제도개선 촉구 |
전 세계 173개국과 EU는 ‘카르타헤나 의정서’라는 국제협약을 맺고 GMO(Genetically Modified Organism)의 무분별한 국가 간 이동·국내 확산... |
[기고]그린바이오산업 육성, 국제적 합의 모르면 '사상누각' |
그린바이오산업의 핵심소재인 생물유전자원은 1992년에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의 아들 조약인 나고야의정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. 나고야의정서의 핵심 내용은 이제 생물유... |
[인터뷰] 한국바이오안전성센터 김기철 센터장… "유전자가위, 합성생물학 등... |
한국바이오안전성센터는 해마다 GMO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(유전자변형생물체법)에 따라 GMO 주요 통계자료를 매년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. 우리나라의 해외 ... |
제 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, 중국서 캐나다로 변경 |
한편 생물다양성협역은 생태계 파괴 등 지구환경문제의 세계적 인식 확산에 따라 1993년 발효됐으며, 이후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2000년 카르타헤나의정서, 20... |
한국바이오안전성센터, '2020 산업용 LMO 안전관리 설명회' 세미나 열어 |
최근 유전자변형생물체(GMO)를 둘러싸고 그 위해성 여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고 있는 가운데 한국바이오안전성센터 주최한 '2022 산업용 LMO 안전관리 설... |
대한상의 “자연자본 글로벌 규범 강화되는데…우리 정부·기업 대응 미진” |
1993년 발효 후 당사국총회는 2000년에 카르타헤나 의정서, 2010년에 나고야 의정서, 2010년에 생물다양성전략 2011-2020 등을 채택했다. 유럽연합(EU... |
글로벌 자연자본 위기 '심각'…"韓도 생태계 보전 글로벌 규범 강화해야" |
1993년 발효 후 당사국총회는 2000년에 카르타헤나 의정서, 2010년에 나고야 의정서, 2010년에 생물다양성전략 2011-2020 등을 채택했다. EU는 EU ... |
자연생태계 보전 글로벌 규범 강화…정부‧기업도 대응 나서야 |
1993년 발효 후 당사국총회는 2000년에 카르타헤나 의정서, 2010년에 나고야 의정서, 2010년에 생물다양성전략 2011-2020 등을 채택했다. EU는 EU ... |
대한상의 "자연자본 글로벌 규범 강화…정부·기업 대응해야" |
1993년 발효 후 당사국총회는 2000년 카르타헤나 의정서, 2010년 나고야 의정서, 생물다양성전략 2011-2020 등을 채택했다. 유럽연합(EU)은 EU 택소노... |
대한상의, "자연생태계 보전 글로벌 규범 강화" |
1993년 발효 후 당사국총회는 2000년에 카르타헤나 의정서, 2010년에 나고야 의정서, 2010년에 생물다양성전략 2011-2020 등을 채택하였다. EU는 EU..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