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k 세부 정보
정보 바로가기 : [변상섭의 그림 보기] 오염지대 장우성作
[변상섭의 그림 보기] 오염지대 장우성作[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.]
학은 십장생의 하나로 고고한 자태의 선비를 상징한다. 비상하는 학은 신비감을 줄 정도로 우리에겐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. 학은 장수와 고결함의 대명사로 인식된 탓인지 선비들이 즐겨 그리던 문인화의 단골 소재였다. 그런데 월전 장우성(1912-2005)은 무슨 생각에 학이 병들어 죽기 직전의 비참한 모습을 그렸다. '오염지대(1979)'가 바로 그렇.. 병든 학의 이미지를 통해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문제에 경종을 울리고 싶었던 것이다.....환경오염과 이데올르기 등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고 지적하는 이른바 참여 예술을 통해 담론화 작업을 .. 산업화에 따른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을 병든 학을 통해 고발을 하고 있음이다... 월전의 현실 참여는 환경문제에 그치지 않고 이데올르기와 민족주의까지 확산된다...